목차
2024년 월급 실수령액 표
월급을 받을 때 마다 실제로 입금되는 금액이 얼마인지 알고 계셨나요? 월급 실수령액은 공제 항목 및 세금 등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. 이 글에서는 2024년 기준으로 월급 실수령액을 계산하는 방법과 주요 공제 항목을 살펴보겠습니다.
주요 공제 항목
- 소득세: 근로소득에 대한 소득세가 기본적으로 공제됩니다. 소득세는 근로 소득에 따라 다르며, 근로자의 연봉과 가족 구성원 수에 따라 변동합니다.
- 건강보험료: 건강보험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, 월급에서 건강보험료가 공제됩니다. 건강보험료는 근로자와 고용주가 부담하며, 근로자의 소득과 보험 적용 유형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.
- 국민연금: 근로자는 국민연금에 가입되어 있어야 합니다. 월급에서 국민연금 보험료가 공제되며, 이는 근로자의 월급과 근로 기간에 따라 달라집니다.
- 고용보험료: 고용보험은 근로자의 고용 상태에 따라 적용됩니다. 고용주가 고용보험료를 납부하며, 이 금액은 근로자의 월급에서 공제됩니다.
2024년 월급 실수령액 예시
다음은 근로자 A의 2024년 월급 실수령액을 계산하는 예시입니다.
- 근로자 A의 월급: 4,000,000원
- 소득세 공제액: 300,000원
- 건강보험료: 150,000원
- 국민연금 보험료: 200,000원
- 고용보험료: 50,000원
실수령액 계산:
월급 - (소득세 + 건강보험료 + 국민연금 보험료 + 고용보험료 + 주택임대차보호보증료)
= 4,000,000원 - (300,000원 + 150,000원 + 200,000원 + 50,000원)
= 4,000,000원 - 700,000원
= 3,300,000원
따라서, 근로자 A의 2024년 월급 실수령액은 3,300,000원입니다.
월급 | 실수령액 | 공제액계 | 국민연금 | 건강보험 | 장기요양 | 고용보험 | 소득세 | 지방소득세 |
200만원 | 1,817,310 | 182,690 | 85,500 | 59,280 | 4,370 | 12,350 | 19,270 | 1,920 |
210만원 | 1,905,070 | 194,930 | 90,000 | 62,400 | 4,600 | 13,000 | 22,670 | 2,260 |
220만원 | 1,992,830 | 207,170 | 94,500 | 65,520 | 4,830 | 13,650 | 26,070 | 2,600 |
230만원 | 2,080,590 | 219,410 | 99,000 | 68,640 | 5,060 | 14,300 | 29,470 | 2,940 |
240만원 | 2,166,200 | 233,800 | 103,500 | 71,760 | 5,290 | 14,950 | 34,820 | 3,480 |
250만원 | 2,248,340 | 251,660 | 108,000 | 74,880 | 5,520 | 15,600 | 43,330 | 4,330 |
260만원 | 2,330,490 | 269,510 | 112,500 | 78,000 | 5,750 | 16,250 | 51,830 | 5,180 |
270만원 | 2,412,060 | 287,940 | 117,000 | 81,120 | 5,980 | 16,900 | 60,860 | 6,080 |
280만원 | 2,490,130 | 309,870 | 121,500 | 84,240 | 6,210 | 17,550 | 73,070 | 7,300 |
290만원 | 2,567,440 | 332,560 | 126,000 | 87,360 | 6,440 | 18,200 | 85,970 | 8,590 |
300만원 | 2,656,670 | 343,330 | 130,500 | 90,480 | 6,670 | 18,850 | 88,030 | 8,800 |
310만원 | 2,736,730 | 363,270 | 135,000 | 93,600 | 6,900 | 19,500 | 98,430 | 9,840 |
320만원 | 2,814,040 | 385,960 | 139,500 | 96,720 | 7,130 | 20,150 | 111,330 | 11,130 |
330만원 | 2,891,350 | 408,650 | 144,000 | 99,840 | 7,360 | 20,800 | 124,230 | 12,420 |
340만원 | 2,968,660 | 431,340 | 148,500 | 102,960 | 7,590 | 21,450 | 137,130 | 13,710 |
350만원 | 3,045,970 | 454,030 | 153,000 | 106,080 | 7,820 | 22,100 | 150,030 | 15,000 |
360만원 | 3,123,280 | 476,720 | 157,500 | 109,200 | 8,050 | 22,750 | 162,930 | 16,290 |
370만원 | 3,200,590 | 499,410 | 162,000 | 112,320 | 8,280 | 23,400 | 175,830 | 17,580 |
380만원 | 3,277,900 | 522,100 | 166,500 | 115,440 | 8,510 | 24,050 | 188,730 | 18,870 |
390만원 | 3,349,440 | 550,560 | 171,000 | 118,560 | 8,740 | 24,700 | 206,880 | 20,680 |
결론
2024년 월급을 받을 때에는 소득세, 건강보험료, 국민연금 보험료, 고용보험료, 그리고 주택임대차보호보증료 등 다양한 항목이 공제되어 실제로 받는 금액이 월급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. 이를 고려하여 재정 관리를 할 필요가 있습니다.
반응형
'Infomation > 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비오는 날 일본 백화점의 귀여운 비밀, "Singing in the Rain" 가사와 가수 프로필 (0) | 2024.08.06 |
---|---|
청라 코스트코 오픈 일, 위치, 회원가입 연회비 (0) | 2024.07.23 |
코스트코의 인기 제품 20가지 (0) | 2024.03.11 |
출국금지여부 조회, 해제 신청 (0) | 2024.02.29 |
방어와 부시리 구별법 맛의 차이, 부시리 방어 가격 (0) | 2023.10.2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