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꿈 해몽

24절기 양력 음력 날짜, 뜻

by 박_은애 2025. 3. 3.
반응형

24절기 양력 음력 날짜, 뜻

한국의 전통적인 시간 계산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24절기는 계절과 농사일에 맞춰 한 해를 24등분하여 나눈 것입니다. 이는 우리의 일상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, 농업 중심의 사회에서 계절 변화를 예측하고 이에 맞는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왔습니다. 24절기는 양력음력 날짜로 구분되며, 각 절기마다 고유한 의미와 역할이 있습니다.

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각 절기의 양력, 음력 날짜를 살펴보고, 그 뜻과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
소한 (小寒)

양력 날짜: 1월 5일
음력 날짜: 11월 16일
의미: 소한은 겨울의 매서운 추위가 시작되는 절기입니다. 이름은 '작은 추위'를 뜻하지만 실제로는 대설이나 대한보다 더 추운 날씨를 기록하기도 합니다. 겨울철의 한복판에 자리 잡고 있어, "대한이 소한의 집에 가서 얼어 죽는다"는 속담이 있습니다.

대한 (大寒)

양력 날짜: 1월 20일
음력 날짜: 12월 2일
의미: 1년 중 가장 추운 시기로 겨울의 끝자락에 해당합니다. 추위가 절정에 달하지만, 이 시기를 넘기면 서서히 봄을 준비하는 따뜻한 기운이 찾아옵니다.

입춘 (立春)

양력 날짜: 2월 4일
음력 날짜: 1월 6일
의미: 봄이 시작됨을 알리는 절기입니다. 입춘은 특히 입춘대길(立春大吉)이라는 글귀를 대문에 붙여 한 해의 복을 기원하는 전통이 있습니다. 농업적으로도 새로운 시작을 의미하는 시기입니다.

우수 (雨水)

양력 날짜: 2월 19일
음력 날짜: 1월 21일
의미: 얼었던 땅이 녹고 겨울의 눈이 비로 바뀌는 시기입니다. 농부에게는 땅을 다질 중요한 시점으로 여겨지며, 봄의 준비가 시작되는 때이기도 합니다.

경칩 (驚蟄)

양력 날짜: 3월 5일
음력 날짜: 2월 6일
의미: 겨울잠을 자던 동물들이 깨어나는 시기입니다. 이름 그대로 '땅속의 벌레들이 놀라 깨어난다'는 뜻을 담고 있으며, 자연의 변화와 생명력의 시작을 상징합니다.

춘분 (春分)

양력 날짜: 3월 20일
음력 날짜: 2월 21일
의미: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는 시점으로, 봄의 절정을 알리는 시기입니다. 이 시점부터는 본격적으로 봄이 진행되며, 따뜻한 기온이 본격적으로 찾아옵니다.

청명 (淸明)

양력 날짜: 4월 4일
음력 날짜: 3월 7일
의미: 하늘이 맑아지고 밝아지는 시기입니다. 조상들은 성묘를 다니며 조상의 은덕을 기리고, 자연의 변화에 감사하는 의미를 지닌 절기입니다.

곡우 (穀雨)

양력 날짜: 4월 20일
음력 날짜: 3월 23일
의미: 곡식에 이로운 비가 내리는 시기로, 농작물의 성장을 돕는 중요한 시점입니다. 농사와 밀접하게 연관된 절기이며, 본격적인 농사의 시작을 의미합니다.

입하 (立夏)

양력 날짜: 5월 5일
음력 날짜: 4월 8일
의미: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시점으로, 기온이 상승하며 생동감 있는 계절이 다가옵니다. 이때부터 농작물도 본격적으로 자라기 시작합니다.

소만 (小滿)

양력 날짜: 5월 21일
음력 날짜: 4월 24일
의미: 만물이 가득 차오르는 절기로, 초목이 짙어지고 풍성함이 느껴지는 시점입니다. 농작물의 생장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때입니다.

망종 (芒種)

양력 날짜: 6월 5일
음력 날짜: 5월 10일
의미: 까끄라기 있는 곡식의 씨앗을 뿌리는 시기로, 농촌에서는 바쁜 농사철이 시작됩니다. 씨앗을 뿌리며 다가오는 여름을 준비하는 시기입니다.

하지 (夏至)

양력 날짜: 6월 21일
음력 날짜: 5월 26일
의미: 낮이 가장 길고 밤이 짧은 시기입니다. 해가 긴 시기에는 농작물들이 빠르게 자라며, 농촌은 더욱 바빠집니다.

소서 (小暑)

양력 날짜: 7월 7일
음력 날짜: 6월 13일
의미: 초여름에 접어드는 시기로, 장마와 함께 무더위가 시작됩니다. 기온이 급격히 상승하며 여름의 특징적인 더위가 다가옵니다.

대서 (大暑)

양력 날짜: 7월 23일
음력 날짜: 6월 28일
의미: 한여름의 가장 더운 시기입니다. 폭염 속에서도 곡식들이 무럭무럭 자라며, 뜨거운 여름이 절정을 맞는 시점입니다.

입추 (立秋)

양력 날짜: 8월 7일
음력 날짜: 윤6월 14일
의미: 가을이 시작되며, 서늘한 바람이 불어오기 시작합니다. 더위가 조금씩 물러가고, 기온이 서서히 내려가면서 여름에서 가을로의 전환이 이루어집니다.

처서 (處暑)

양력 날짜: 8월 23일
음력 날짜: 7월 1일
의미: 더위가 물러가고 서늘해지며,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입니다. 이때부터 농작물들이 수확할 시기가 다가옵니다.


결론

24절기는 단순히 날짜를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, 자연의 흐름과 농사일을 예측하며 우리 생활에 많은 영향을 미쳤습니다. 각 절기의 날짜와 의미를 통해 우리는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며 생활했던 조상들의 지혜를 느낄 수 있습니다. 현대 사회에서는 주로 농업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었지만, 여전히 24절기의 의미는 깊이 새겨져 있으며, 이를 통해 계절의 변화를 보다 정확히 이해하고 감지할 수 있습니다. 오늘날에는 음력, 양력과 함께 생활하면서 이러한 전통적인 지혜를 더욱 중요하게 여겨야 할 시점입니다.


반응형